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갤럭시 핸드폰 물에 빠졌을 때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 5가지

by ddo-gajagoo 2025. 7. 18.

갤럭시 핸드폰 물에 빠졌을 때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 5가지

욕실, 화장실, 세탁기, 싱크대…
요즘 스마트폰은 방수 기능이 있다고 해도 완전히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.
특히 물에 빠졌을 때 당황해서 잘못된 행동을 하면
수리비가 수십만 원까지 나올 수도 있어요!

오늘은 갤럭시 핸드폰이 물에 빠졌을 때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 5가지를 알려드릴게요.
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서 꼭 기억해 두세요!

 

 

❌ 1. 바로 전원을 켜거나 눌러보기

물이 들어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누르면 기판에 물이 돌면서 쇼트가 발생할 수 있어요.
절대 전원을 켜지 말고, 꺼진 상태라면 그대로 유지하세요.
작동 확인하고 싶더라도 꾹 참으셔야 합니다!

❌ 2. 충전기 꽂기

젖은 상태에서 충전기를 꽂으면 전류가 흐르면서 내부가 타버릴 수 있어요.
심하면 아예 작동불능이 되기 때문에
완전히 건조된 뒤에 충전하세요.
무조건 24~48시간은 기다리는 게 좋습니다.

 

❌ 3. 드라이기나 전자레인지로 말리기

많은 분들이 드라이기로 뜨거운 바람을 쐬시는데,
열 때문에 부품이 손상되거나 플라스틱이 녹을 수 있어요.
전자레인지나 히터는 절대 금지입니다!

올바른 방법: 선풍기, 자연 바람, 건조제(제습제) 등을 활용해 서서히 말리세요.

❌ 4. 마구 흔들기

물이 빠지라고 흔드시는 분도 계신데,
오히려 물이 더 깊숙한 곳으로 들어갈 수 있어요.
특히 스피커나 카메라 쪽에 더 큰 손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.

 

❌ 5. '쌀 속에 넣으면 된다'는 민간요법 맹신

쌀에 넣으면 수분을 흡수한다고 알려졌지만,
쌀가루나 먼지가 핸드폰 틈에 들어가 오히려 망가질 수 있어요.
제습제가 없다면 깨끗한 종이타월로 감싸고 그늘에서 자연 건조가 더 안전합니다.

✅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  1. 전원을 끄고 유심·SD카드 분리
  2. 겉에 물기 닦기
  3. 흔들지 않고 조용히 말리기 (선풍기, 제습제 등 활용)
  4. 24~48시간 후 전원 확인
  5. 이상이 있으면 가까운 서비스센터 방문

📌 마무리 한마디

요즘 갤럭시폰은 방수 등급(IP67, IP68)이 있지만,
물이 아닌 비누물, 음료, 화장실 물 등은 방수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.
사고가 났을 때는 무리하게 작동하지 말고 차분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
어르신들 핸드폰 소중하니까, 꼭 이 내용 기억해 두세요! 😊
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시지 주세요~